고양이 정보

고양이 각막 괴사(Corneal Sequestrum) 원인 및 증상

아리퐁마리냥 2023. 1. 30. 00:33
반응형

고양이 각막 괴사(Corneal Sequestrum)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고양이는 예리한 시력을 가지고 있지만 각막 격리 등과 같은 눈 질환을 앓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상태는 눈의 투명한 외층인 각막에 영향을 미치며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심각한 시력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저희 집 막내 고양이 마리가 작년 3월쯤 각막 괴사로 인해 수술을 받았었는데요. 오늘은 고양이 각막 괴사(Corneal Sequestrum)의 원인, 증상 및 치료 방법과 예방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고양이 각막 괴사

 

1. 고양이 각막 괴사 Corneal Sequestrum이란 무엇입니까?

각막 괴사는 각막의 한 부분이 괴사 되고 하부 조직에서 분리되는 상태입니다. 이로 인해 눈의 통증, 충혈, 분비물, 각막이 흐리거나 불투명해 보이는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괴사 조직이 어두운 색을 띨 수도 있는데, 이 상태에서 분리되거나 분리된 것을 의미하는 격리(sequestrum)라는 이름이 붙습니다.

 

2. 고양이에서 각막 괴사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각막 괴사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해당 부위로의 혈류 부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고양이 헤르페스 바이러스 또는 기타 감염과 같은 특정 조건 또한 각막 괴사가 발생할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유전적 소인도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3. 고양이의 각막 괴사 증상

각막 괴사 증상은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눈의 통증, 눈의 충혈 및 염증, 각막이 흐르거나 불투명함, 각막이 어둡고 변색됨등 다양한 증상이 있고 만약 고양이에게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가능한 한 빨리 수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4. 고양이 각막 괴사 치료 및 관리

각막 괴사에 대한 치료는 눈의 상태와 근본적인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경우에 따라 감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서 국소 또는 경구용 항생제를 처방할 수 있습니다. 더 심한 경우에는 괴사 조직을 제거하고 각막을 복구하기 위해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 외에 각막 괴사를 예방하기 위해 집에서 할 수 있는 조치도 있습니다. 고양이의 눈을 깨끗하고 이물질 없이 유지하고 수의사가 처방한 대로 약을 넣어주고, 눈의 불편함이나 시력 변화의 증상이 있는지도 자세히 살펴봐야 합니다. 

 

고양이가 만약 눈물을 많이 흘린다거나 눈을 자꾸 비비거나 충혈되는등 평소와 눈이 다르다면 바로 병원에 방문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치료가 늦어진다면 각막 괴사에서 각만 천공의 위험이 증가될 수 있습니다. 주기적인 정기검진을 통해서 미리 예방하고 관리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가능하시다면 안과전문병원을 방문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저희 집 막내 고양이 마리는 2022년 3월에 각막 괴사 수술을 받고 지금은 치료가 거의 다 되어서 이제 1년에 한 번씩 정기검진을 받기만 하면 되는데요. 따로 고양이 각막 괴사 수술에 대한 후기도 올려드릴게요! 

 

 

반응형